가끔 외근 나가는 길에 대중 교통을 이용할때면 아이들을 보기가 힘든 것 같아요. 출산율 저하와 고령화가 현실로 다가왔습니다. 심각해지고 속도는 더 빨라지는 것 같아요. 이번에는 대한민국 출산율 저하 해결책에 대해서 포스팅하는 시간입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입니다.
교육은 엄마만의 영역이 아닌, 우리 모두의 영역입니다.
최근에는 아이들을 보기 힘들어졌습니다.

"서곡은 1983년 가족계획 협회의 국가정책에서 시작했지요."
- 저는 초등학교 1학년 시절 한반 60명으로 총 10여반 정도였는데, 요즘 저희 아들은 한반에 20명으로 6반 정도 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하철을 타면, 건너 10여 좌석 1열에 5석 이상은 중년 이상 사람들이 앉아있는 것도 흔한 일상이 되었습니다.
- 가족계획 협회의 '하나만 낳아도 삼천리는 초만원'이라는 표어는 1983년부터 시작었어요. 당시에는 인구폭발 방지 범국민 결의 서명 캠페인도 있었다고 합니다.
- 출산율 저하의 심각성. 1965년에 대한민국 출산율 6명에서, 1983년에는 합계 출산율이 2명까지 내려옵니다. 게다가 1996년까지 셋째 아이는 의료보험 혜택을 주지않는 출산 억제 정책까지 썼어요.
오늘 대한민국의 모습과, 내일 대한민국의 미래는.

- 2021년 대한민국 출산율은 0.81명으로 유엔 인구 조사 대상 198개 나라중 최하위인데, 이는 출산율 저하 → 생산활동 참여 인구감소 → 공급의 감소와 수요의 증가 → 국내총생산 GDP 감소로 이어져 미래가 밝지 않습니다.
- 그리고 출산율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낳은 자녀의 양육과 교육은 더욱 중요한 부분이에요. 대한민국 정부는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출산율을 높이려는 정부의 정책, 하지만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요.
- 사실 정부와 지방자치 단체에서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 출산 장려금의 형태로 여러가지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녀는 출산에 돈이 드는 것보다, 양육 과정에서 어마어마한 돈과 노력이 들어가요.
- 부모 중 한명이 전담하여 직접 양육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지만, 맞벌이 가족의 경우는 비용 뿐만 아니라 기회 비용까지 엄청납니다. 왜냐면 일터에서 근무할 때에는, 돌봄 시설이나 학원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 조차 비용과 시간으로 인하여 여의치 않을 수 있어요.
- '게다가 대한민국은 일과 가정의 균형을 지켜주는 문화가 아닌데, 그 누가 출산과 양육을 하려고 할까요?'
양육에 대한 시각의 변화가 절실합니다.

"자녀 양육은 개인 부담이 아닌 공공 부담입니다."
- 가정, 학교, 국가 모두 역할이 필요하며, 특히 부모의 부담을 덜어주어야 해요. 출산의 장려만 신경쓸 것이 아니라, 태어나는 자녀의 양육 과정도 살펴야 합니다.
- 바로 해결책은 정부의 공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 얼마나 효율있는 정책이어야 하는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사회적 공감대 형성도 필요하지요.
- 중요한 핵심은 아이가 행복한 나라, 아이를 키우고 싶은 나라가 되어야 합니다. 즉, 아이가 중심이 되어야해요. '그러나 지금 대한민국은 아이가 행복하고, 아이가 중심인 나라입니까?'

"가장 중요한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인식."
출산율 저하 해결책
① 다양한 국가 정책이 필요 → 출산 전후 휴가, 배우자 출산휴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육아휴직 제도, 일정 수준 생활비 보장
② 믿을 수 있는 보육시설 운영이 절실 → 여성의 경제 활동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 필요.
③ 일과 가정 균형을 지키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 필요 → 현실은 제도 이용이 눈치 보이는 분위기.
2022.12.9.금.
81년생 이차장 오늘 한줄.
'지금 대한민국은 아이가 행복하고, 아이가 중심인 나라입니까?'
'※ 자녀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개정 교육과정 확정 포용성과 창의성 디지털 소양 문해력 강화 국어 34시간 (8) | 2022.12.27 |
---|---|
2023년도 수능성적표 대입입시전략 작년불수능 교차지원 절대평가 반영비율 졸업생 검정고시생 지원자비율 수시모집 (8) | 2022.12.10 |
포켓몬대도감 포켓몬캐릭터그리기 캐릭터그리기 자녀놀아주는법 자녀와그림그리기 그림잘그리는방법 아이와놀아주는법 뮤 뮤츠 가이오가 원시가이오가 아르세우스 메가진화 (18) | 2022.12.05 |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리뷰 입시정보 수능난이도 국어난이도 수학난이도 영어난이도 불수능 불국어 (12) | 2022.11.18 |
방과후학교 교육활동 학부모참관수업 방과후학교에대해서 방과후학교운영체계목적 바둑체스 씽크탱크 바둑교재 체스의규칙 (24)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