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녀 교육자료

아이 스트레스 교육 공감 격려 방법

반응형

아이 스트레스 교육 공감 격려 방법

 2023년 아마 여기 계신 분들 자녀 중, 신학기 준비하는 아이가 있을 수 있고 아니면 조금 먼 훗날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자녀 입학전 걱정을 하실 것 같아요. 이를테면 우리 아이가 잘 할 수 있을까? 친구들과 잘 지낼 수 있을까? 혹시 무슨 일 생기지 않을까? 등등. 이번 포스팅은 아이 스트레스에 관한 포스팅을 키워드로 구성해봅니다.

아이 스트레스 공감이 매우 중요

 

'강하게 키운다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면 안됩니다.'

- 어른들이 보기에 사소해 보여도, 아이에게 큰 스트레스일 수 있어요.

- "나도 입학할 때 두려웠었어." 라는 공감하는 모습. 아빠, 엄마, 선생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 특히 등교 거부나 복통의 모습이 보일 경우 즉시 충분한 공감과 할 수 있다는 격려가 필수에요.

아이 스트레스 신호를 파악해야

 

'울음, 두통, 복통, 대소변 실수, 머리카락 뜯기 외'

- 어른들과 똑같이 아이들도 성장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데, 큰 정신적 충격 트라우마를 입을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반응은 다양하게 나올 수 있는데, 무시하거나 과잉보호 혹은 즉시 해곃해주는 모습 모두 좋지 않아요.

가장 중요한 '회복 탄력성' 키우기

 

'스트레스를 복원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

- 정서적 지지와 유대감이 가장 중요, 위기에 처했을 때 공감과 지지를 받을 경우 잘 견딜 수 있습니다.

- 과잉 보호시 스스로 능력에 대한 의구심과 자신감 결여의 가능성이 있어요.

- 아이 표현의 억압은 금물, 경청하는 모습을 통한 대화는 유대감을 강화시킵니다.

새로운 시도를 응원하는 자세

 

'익숙함에서 벗어난 경험의 도전을

적극적으로 응원합니다'

- 아이의 걱정 → 부모의 충분한 공감 → 회피가 아닌 격려 필요 → 아이의 새로운 경험 축적 → 아이의 불안감 감소 → 회복 탄력성 발달

- 스트레스는 누구나 받을 수 있지만,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시켜야 하지요.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아이와 어른 모두 같은 것 같아요. 아이 스트레스 교육에서 아이를 어른이란 단어로 바꾸어도 무방합니다.

2023.1.

81년생 이차장 오늘 한줄.

어른도 아이처럼 공감과 지지가 필요합니다. 어쩌면 더 많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