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학 경제 시사

한파 한파대비 한파의의미 한파의기준 한파주의보 한파경보 한파 체감온도 한파피해 동상 저체온증 행동요령 안전상식 비상연락

81년생 이차장 2022. 11. 1. 08:42
반응형

 

한파와 한파대비

 

 

이제 날씨가 추워짐에 따라서 한파의 가능성도 조심스레 예상

이제 날씨가 추워짐에 따라서 한파의 가능성도 조심스레 예상됩니다. 비록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지만, 지역에 따라 강한 한파가 올 수 있어요. 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대비해야 할 한파에 대해 포스팅을 합니다.

먼저 한파의 의미, 한파의 기준, 한파주의보와 한파경보, 한파 체감온도, 한파피해, 동상, 저체온증, 행동요령, 안전상식, 그리고 비상연락까지 간단하게 담아보려 합니다.


 

 

 

한파의 의미?

 

한파의 의미?

겨울철에 온도가 갑자기 내려가는 강추위, 영어로 Cold Wave 라는 단어로, 시베리아로부터 맹추위를 몰고 오는 것을 말합니다.

 

한파의 기준?

한파의 기준? 먼저 '한파주의보'와 '한파경보'로 나는데,

기준 숫자의 경계는 영하 10도와 영하 15도입니다.

한파주의보는 영하 10도, 한파경보는 영하 15도

한파주의보 기준

'한파주의보' 기준은 아래입니다.

보통 10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 아래 ①, ②, ③ 중 하나에 해당될 경우로, 아침 최저기온의 변동에 따라 가늠합니다.

아침 최저기온 전날 대비 영하 10도 이상 내려갈 때, 평년보다 3도 이상 낮을 경우

아침 최저기온 영하 12도가 이틀 이상 지속될 경우

③급격한 저온현상으로 피해가 극심한 경우

위에 세 가지보다 더 심할 경우, '한파경보'가 발령되는데요.

한파경보의 기준

'한파경보'는 아래와 같은데,

아침 최저기온 전날 대비 영하 15도 이상 내려갈 때, 평년보다 3도 이상 낮을 경우

아침 최저기온 영하 15도가 이틀 이상 지속될 경우

③급격한 저온현상으로 피해가 '광범위'하며 극심한 경우

 

 

한파 체감온도 영향?

한파 체감온도 영향?

기준 숫자의 경계는 영하 9도, 영하 17도, 영하 24도, 영하 32도입니다.

- 영하 9도에서 영하 16도 : 찬 공기에 노출된 피부가 냉각

- 영하 17도에서 영하 23도 : 찬 공기에 일정 시간 노출된 피부가 동상에 걸림

- 영하 24도에서 영사 32도 : 찬 공기에 빠르게 피부가 동상에 걸림

- 영하 32도 : 야외 활동 금지


한파피해가 인체에 주는 피해로, 동상과 저체온증 외 동창, 사망까지 이를 수 있어요.

 

동상 원인증상

동상 원인증상

피부가 차가운 공기로 인해 발생되는 질환입니다.

- 1도 동상 : 물집 없음

- 2도 동상 : 물집+부종

- 3도 동상 : 물집+부종 장시간 나타날 경우

- 4도 동상 : 피부의 괴사로 절단까지 갈 경우

저체온증 원인증상

저체온증 원인증상

저체온증이란 체온이 35도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말합니다.

- 35도에서 33도 : 근육 떨림, 피부 창백, 입술 청색, 졸음과 발음의 부정확

- 32도에서 29도 : 근육 떨림 없음, 혼수상태, 심장 박동과 호흡 감소, 동공 확장

- 28도이하 : 부정맥 발생, 혈압 감소와 의식 불명

 

한파피해가 일상에 주는 피해로 농축산물 재산피해, 전력급증, 생활불편 등 다양합니다.

예들 들어서 간단히 요약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플라스틱 → 팽창과 수축으로 동파,

고무 → 균열과 파열,

윤활유 → 점도 증가

냉각수 → 결빙 장비파손

축전지 → 전해액 비중 상승

전기장비 → 내부 부품 파손


 

 

한파피해 행동요령은 아래와 같습니다.

- 텔레비전, 인터넷, 라디오를 통한 기상 상황 수시 점검

- 저체온증 시, 가까운 병원의 위치 사전 파악

- 어린이, 노약자, 심뇌혈관질환자, 동상에 걸리지 않도록 보온에 중점

- 저체온증, 동상, 동창 증상과 대처법 사전 숙지, 따뜻한 물에 30분 정도 담근 후 온도를 유지하며 병원으로 이동

- 보일러, 배관, 난방기구 사전정비

- 계량기 동파방지, 헌 옷으로 보온

- 외출 시 방한도구 지참

- 정전과 단수에 대비, 온수를 약하게 틀어놓을 것

- 장거리 운전 대비, 스노체인, 월동용품, 부동액, 자동차 점검

안전상식

안전상식은 간단히 아래 사항을 숙지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무리한 신체활동 금지 / 충분한 영양섭취 / 선천성 혹은 만성질환(내분비계,심뇌혈관,신경계,감염병,외) 주치의 사전 상의 / 호흡기와 순환기에 치명적 / 한파 지속 시 실내 4도 이상 하강 시 위험 / 저체온증 발생 시 뇌경색 위험도 증가 /

 


 

한파피해 관련 비상연락은 아래와 같아요.

 

주요기관 연락처

주요기관 연락처 숙지 : 재난 119 / 민원 110 /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044-205-1542~3

국민행동요령, 임시주거실 안내

국민행동요령, 임시주거실 안내 :

-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 http://www.mois.go.kr

 

-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 : http://www.safekorea.go.kr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 ‘안전디딤돌’

유관기관 연락처

유관기관 연락처 :

- 행정안전부 044)205-6366, http://www.mois.go.kr

 

- 기상청 02)2181-0900, http://www.kma.go.kr

 

- 고용노동부 044)202-8895, http://www.moel.go.kr

 

- 보건복지부 044)202-2652, http://www.mohw.go.kr

 

- 질병관리청 043)719-7082, http://www.kdca.go.kr

 

- 농림축산식품부 044)201-1474, http://www.mafra.go.kr

 

- 농촌진흥청 1544-8572, http://www.rda.go.kr

 

- 해양수산부 044)200-5617, http://www.mof.go.kr

 

- 교육부 044)203-6355, http://www.moe.go.kr

(하단에 바로가기 링크를 참조드리겠습니다.)

2022.11.1.화

오늘 한줄

지금 편안한 순간이 바로 위기를 대비할 타이밍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