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학 경제 시사

미국 국채 금리와 경기 침체

81년생 이차장 2022. 12. 29. 09:24
반응형

 

미국 국채 금리와 경기 침체

참 어렵고 힘든 시기를 겪고 있어요. 우리 대한민국 경제는 달러 영향을 유독 크게 받는 것 같습니다. 물론 기축 통화가 달러이기 때문에, 전 세계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지요. 이번 시간에는 경제 공부에 대한 시간을 키워드와 함께 가져봅니다.

국채금리 역전과 경기 침체 전개 요약

① 발단 (정상흐름) : 국채금리 장기 10년 > 단기 3개월

② 전개 (전조 현상) : 국채금리 장기 10년 < 단기 3개월 역전

③ 위기 (침체 진입) : 6개월~24개월 이후 경기 침체 진입 가능성

④ 절정 (주식시황) : 주식시장 폭락은 장단기 금리차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 전환 시

⑤ 결말 (불확실성) : 주식 폭락 이후 반등 가능성, 각국 정부 깊은 침체를 막기 위한 저금리 통화정책 가능성

그리고 아래는 부연 설명입니다.

단, 전망과 투자의

개인적인 견해이기 때문에 주의 부탁드립니다.

1. 경기 침체 강력한 신호는 장단기 국채금리 역전

 
 
 

'경기 침체 전조 현상 :

미국 장기국채금리 10년 < 단기국채금리 3개월'

- 경기 침체란, 전미경제 연구소 NBER의 공식적인 발표에서 시작합니다. 신호는 바로 상단 금리 역전을 지표로 보아요.

- '미국 국채금리 10년 > 미국 단기국채금리 3개월' 이 정상입니다.

- 미국 1960년대 이후 발생한 경기 침체는, 앞서서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를 역전하면서 시작했어요.

- 금리 역전 발생, 장기<단기 → 5개월~23개월 이후 경기 침체 진입

- 22년 10월 말에 금리 역전 발생으로, 내년 중반에 본격적인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장기 단기 금리 역전 이유는,

중앙은행 통화정책 때문에

 
 
 

'단기 채권금리는 중앙은행 금리 기준,

장기 채권금리는 향후 경제전망'

- 채권은 원래 정기예금처럼 만기가 길수록 금리가 높다

- 사실 돈을 오랫동안 빌려주면 더 많은 보상을 받지요. 하지만 통화정책에 의해 이례적 상황이 벌어집니다.

- 결국 장기 채권금리는 낙관적인 전망 시에 상승, 비관적인 전망 시 하락하지요.

3. 경기 침체 시 주식시장은 어떻게 될까요

 
 
 

'실제 폭락장 장단기 금리차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올라갈 때'

- 하지만 폭락 이후 항상 반등을 했는데, 이유는 더 깊은 침체를 막기 위한 금리 하락 정책 때문입니다.

- 결국 경기 침체의 신호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2.12.

81년생 이차장 오늘 한 줄

결국 국가의 통화정책, 즉 미국 연준 연방준비은행의 통화정책에서 발생합니다.

728x90
반응형